 |
|
 |
변실금이란 가스나 대변을 조절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자기가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방귀를 뀌는 경도의 |
변실금부터 설사나 굳은 대변도 참지 못하는 심각한 상태의 변실금도 있습니다. 변실금은 젊은 사람에서는 드무나 |
분만을 많이 한 여성이나 나이가 많은 노인들에서는 흔한 질병입니다. |
 |
|
 |
 |
변실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나 가장 많은 원인으로서는 여성에게서 분만에 의한 항문 괄약근 파열이나 |
노인에게서 괄약근에 분포하는 신경계의 이상으로 인한 것입니다. 그 외 항문수술이나 사고로 인한 괄약근 손상, 항문 |
및 직장의 선천적 이상, 설사, 오래된 변비로 인한 신경 압박 등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
|
 |
 |
변실금의 적절한 치료를 위해서는 직장 항문 생리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
 |
항문초음파검사는 환자에게 방사선 손상을 전혀 주지 않는 최신 검사법으로 고해상도의 초음파 소식자(probe)를 |
항문내로 삽입한 후 이 소식자가 항문과 직장에서 360도 회전하면서 골반근육 및 항문 괄약근의 형태학적인 손상 |
유무를 확인하는 진단 방법입니다. |
 |
|
 |
항문내압검사는 항문의 안정시와 수축시 압력을 측정하여 변실금 환자에서 항문 괄약근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
수 있는 검사입니다. (변비 검사법 참조) |
|
 |
배변영화조영술은 변실금환자의 원인이 되는 직장항문 중첩증이나 직장탈을 동적인 비디오 영상으로 볼 수 있게 고안된 |
검사입니다. (변비 검사법 참조) |
|
 |
항문 괄약근 근전도 검사는 골반근육 및 항문 괄약근의 기능적인 손상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법으로 항문초음파와 |
더불어 변실금 진단에 필수적인 방법입니다. (변비 검사법 참조) |
|
 |
음부신경 전도 검사는 신경성 변실금 환자의 진단과 예후측정에 중요한 검사법입니다. (변비 검사법 참조) |
|
 |
 |
변실금 환자들은 질병에 대한 수치심으로 자기의 고통을 가까운 사람이나 의사에게 말하기를 꺼려하여 적절한 치료가 늦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변실금의 원인을 상기한 여러 검사기기를 통해 정확히 찾아내어 약물치료, 바이오피드백 치료법, 수술 등을 시행한다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
|
 |
경도의 변실금은 식이요법이나 약물치료를 통해 대변의 양상이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쉽게 치료될 수도 있습니다. |
즉 설사를 많이 하는 환자는 변을 굳게 그리고 변이 너무 딱딱하여 배출하지 못하면서 직장 감각 기능이 떨어진 변실금 |
환자에서는 변을 무르게 만드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도 만족할 만한 증상의 개선이 있을 수 있습니다. |
|
 |
변실금의 원인 중 가벼운 괄약근 손상이나 신경계 이상으로 인한 신경성 변실금의 제1차 치료방법이며 치료성적이 |
탁월합니다. (변비 치료법 참조) |
|
 |
1. 항문 괄약근 성형술(Sphincteroplasty) |
2. 후방항문교정술(Postanal repair) |
3. 치골경골근, 둔부근 전위술(Gracilis or Gluteus muscle transposition) |
4. 인공항문괄약근 조성술(Artificial anal sphincte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