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치질, 치열, 항문주위 농양 등 항문이나 항문 주위에 문제가 있어 발생하는 통증은 임상적이나 흔합니다. |
그러나 이러한 기질적인 원인을 찾을 수 없으면서 항문 안쪽이나 직장부위에 둔통이나 압통이 있을 경우를 만성 |
직장통이라 정의 합니다. |
이 질환은 중년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며 반수 이상에서 만성변비 및 과민성대장염과 연관이 있으며 증상과 통증 |
부위에 따라 항문거근증후군, 직장항문통, 미골통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
항문거근증후군(levator ani syndrome)
|
항문거근 경련(levator ani syndrome)이라고도 하며 환자는 간간히 항문과 직장통을 호소하며 앉아 있을 때나 대변을 |
누고 싶을 때 악화되기도 합니다. 또한 배변 후에도 뒤가 묵직하다고 표현하기도 하며 때로는 통증이 엉덩이나 질 |
쪽으로 퍼지기도 합니다. 항문 수지 검사 상 항문거근이나 치골직장근 부위에 압통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
직장항문통(proctalgia fugax)
|
이 질환은 밤에 자다가 갑자기 항문 내 근육에 쥐가 나듯이 통증이 있어 깨어날 만큼 통증이 심하며 임상특징은 항문 |
거근증후군과 비슷합니다. |
미골통(coccygodynia) |
항문부 진찰상 미골(꼬리뼈)부위에 통증이 있을 때를 말하며 과거 미골부위에 손상을 입은 환자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
 |
만성 직장통의 원인은 아직 잘 밝혀지지 않았고 만성변비중 치골직장근 이상항진증과 관련이 있는 항문거근의 |
경련으로 설명하나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그외 오랜 여행 후에 생기거나 분만 후에 생기기도 하고, 때로는 항문에 |
괴사제를 주입하거나 수술을 받은 후에 나타나기도 합니다. 변비가 심해 무리한 힘을 반복해서 줄때도 이러한 증상이 |
나타납니다. |
다만 아래 질환들은 만성직장통과 유사한 통증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감별진단을 해주어야 합니다. |
1) 항문과 골반주위의 질환 : 항문주위농양, 치루, 치열, 직장항문중첩증, 직장탈, 크론씨병, 염증성 직장염, |
전립선염, 대장게실염 |
2) 직장의 양성 및 악성 종양 |
3) 정신적 원인 : 우울증 |
 |
1) 병력 및 항문 수지 검사 |
2) 항문직장경, 대장내시경, 대장조영술 |
3) 항문초음파 검사 |
4) 항문 내압 검사 |
- 항문거근 및 항문괄약근 이상이나 항문 과항진증에 의한 직장통을 진단합니다. |
5) 항문초음파 검사 |
- 직장통을 유발하는 치골직장근 이상항진증과 신경계 이상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법입니다. |
 |
만성 직장통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만성 직장통과 유사한 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을 상기한 여러 검사법으로 |
배제한 후 다음의 치료를 시행하는 것입니다. |
1) 식이요법 |
만성변비가 직장통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변비를 예방하기 위해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물을 많이 드셔야 됩니다.
|
2) 좌욕 |
깨끗하고 따뜻한 물에서 긴장을 풀고 하루 15분씩 하루에 4회 시행합니다. |
3) 약물요법 |
- 팽창성 하제 - 직장통과 동반되는 변비와 과민성대장염을 치료합니다. |
- 근육이완제, 진통제, 항우울제 |
- 칼슘통로 차단제, 베타 아드레날린성 제제 - 근육의 이완을 유도합니다. |
4) 바이오피드백 치료법 |
항문거근의 경련, 직장항문 중첩증, 치골직장근 이상항진증 및 항문 과항진증에 의한 직장통에 효과가 있습니다. |
바이오피드백 요법은 일종의 행동 치료법으로 환자의 생체 반응을 시각이나 청각을 통한 자극으로 행동을 변화시키는 |
법을 일련의 시행착오를 통하여 배우는 방법으로 변비와 변실금 이외에 직장통 환자에게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
만성 직장통 환자에서는 우선 항문 괄약근의 과긴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항문괄약근의 긴장을 푸는 |
방법을 터득하게 하여 치료에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평균 8주간의 치료법을 시행하여 증상의 완화를 가져와 91.7%의 |
높은 성공률을 보였습니다. |
5) 주사요법 |
- 리도카인 및 부피바카인 주사법 |
- 스테로이드 주사법 |
- 보톨리늄 독소 주사법 |
6) 전기 갈바릭 자극기(Electrogalvanic stimulator) |
이 치료는 직장통이 있는 부위에 저주파의 진동하는 전류를 주입한 후 항문거근의 반복적인 수축을 유도하여 경련이 |
있는 항문거근을 피곤하게 만듦으로서 근육의 강직을 풀어지게 하여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
저주파수의 진동은 발열을 하지 않아 열을 발산하여 근육의 긴장을 푸는 온열 요법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이 치료법은 부작용이 없고 치료시에 통증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
 |
7) 미추마취(Caudal block) |
항문거근이나 괄약근에 분포하는 음부신경을 마비시켜 통증을 치료하는 시술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