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곤지름이란
파필로마 바이러스(Papilloma Virus)에 의하여 유발되는
질환으로 주로 성적인 접촉에 의하여 전달되는 |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곤지름은 항문에서만 생기는 질환은 아니며 여성의
질, 남성의 요도에서도 생길 수 있는 |
질환입니다. |
|
 |
 |
항문에서만
생기는 항문곤지름은 주로 남성들간의 동성애에 의하여 전달이 될
수 있으나, 이성간의 성접촉 |
(heterosexual
contact)에 의하여서도 감염이 될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이성간의 접촉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가 |
훨씬
많습니다.
감염이 되어도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약 1개월에서 6개월간의 잠복기간이
있어서 질병의 예방이 |
매우
어려우며 치료
후에도 높은 재발율을 보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환자의 약 95%가
동성애를 즐기는 남성이며 |
여성에서
이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대개 항문으로 성기를 받아들이는 성생활을 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
여성에서의
항문곤지름은 질의 곤지름이 항문쪽으로 진행하여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
이런
경우는 질의 곤지름이 진행하여 항문쪽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문란한 성교의 병력없이 이질환이 |
생기는 경우가 간혹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으로는 항문점막에 파필로마바이러스(papilloma virus)가
상주하며 |
우연히
점막이나 피부의 손상에 의하여
바이러스가 조직에 침습하여 감염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
미국의
경우에는 후천적 면역기능 결핍증(AIDS)의 경우에 곤지름(Condyloma
accuminatum)이 흔히 관찰되며, |
이러한
경우에는 치명적인 상피 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게 보고되고 있으며 |
젊은
남자에게
흔히 관찰됩니다. |
국내에서의
곤지름의 발생은 아직 정확히 보고되고 있지 않으나 그리 드문 병은
아닙니다. |
|
 |
 |
콘딜로마는
맨 처음에 좁쌀 같은 것이 항문 주위에 몇 개 생겼다가 차근차근
이것이 더 커져 버섯같이 되면서 항문 |
주위를
덮어 버리기도 하고 항문 주위에 여러개의 혹이 번져나가기도 합니다. |
곤지름의
가장 큰 문제는 그냥 놔두게 되면 한 없이 커지는 경우가 많으며
암으로의 이행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만일
암으로 이행되면 큰일 이므로 조기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곤지름은
전염성 질환이며 잠복기가 길어서 현재 |
정상으로
보이는 피부에서 바이러스가 숨어 있다가 치료후에 증상을 보여서
결국은 재발이 많다는 점입니다. |
 |
치료에는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보존적 요법은 국소
도포제를 바르는 것과 성생활지도로 |
나눌
수 있습니다. |
성생활은
재감염이나 주위사람들에게 감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치료기간과 치료
후 약 4개월간 콘돔(condom)을 |
사용하도록
하며 난잡한 성생활을 그만 두도록 유도하여야 합니다. |
또한
사용하는 수건을 달리하여 주위사람들에게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
포도필린(podophyllin)은
국소적 요법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약제입니다. 포도필린은 피부에
화상을 입히는 약제로 |
주위
피부에 닿았을 경우에 심한 화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치료성적은 곤지름의 크기에 따라 |
다른데
크기가 큰 경우에는 약 25%정도에서만 치료
효과가 있으므로 일반의나 피부과 의사에 의해서 주로 사용되고 |
있을
뿐이며 외과의들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
수술적
치료에는 냉동 수술, 전기 소작, 전통적인 절제술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냉동
치료는 치핵의 치료에 사용되는 질소나 산화질소를 이용하여 냉동시켜
치료를 하는 방법인데 통증이 없는 |
점에서
많은 관심을 끌었으나 치료 성적이 만족스럽지
못하며 재발율이 약 20%에 달해서 많이 사용되지는 못하고 |
있습니다. |
레이저가
각광을 받는 근래에서 곤지름의 치료에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은 당연한
추세일 것이며, |
탄산가스
레이저가 피부의 손상을 적게 하면서 치료를 할 수 있으므로 많이
시도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재발이나 통증 |
면에서
장점이 없으며 고가의 장비를 사용함으로 의료수가가 많이 상승하며
레이저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
연기에
의하여 치료자에게 만일에 생길 수 있는 감염의 위험성이 있어서
근래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으며 그리 권장할 |
만한
방법은 아닌 것으로 생각됩니다. |
전기
소작술은 아직까지 가장 많이 쓰이는 수술법이며 곤지름만을 전기
소작함으로써 정상피부를 많이 남기며 치료를 |
하는
방법으로 1회 치료시 약 80%에서 치료가 되나 1년 후에 치료가
된 사람들 중 약 30%에서 재발이 됩니다. |
전통적인
수술법으로 치료를 하는 경우에도 국소적으로 곤지름 만을 절제하는
방법과 곤지름을 가진 부위를 전체적으 |
로
절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국소적으로
절제하는 경우는 피부의 손상을 최소로 할 수 있으나 수술 후 출혈과
재발이 많습니다. |
전체를
모두 제거하는 경우는 재발의 가능성은 줄지만 상처가 크게 되어서
수술후 항문의 모양이나 기능, 치유기간, 치 |
료비용
등에서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불리합니다. |
전체를
같이 제거하는 경우는 암의 발생소지가 있는 경우에 국한하여
사용합니다. |
어떤
치료도 현재까지는 재발의 가능성이 있으나 국소적 치료자체가 간단하므로
재발이 되더라도 외래에서 치료로 완 |
치가
가능합니다. 한번 곤지름이 생기면 적어도 증상이 없어진지 3개월간
재발이 없는지를 주기적으로 관찰을 해야 합 |
니다. |
즉
곤지름을 국소적으로 치료하여 항문이 깨끗해진 후 병원에 다시 올
날짜를 어기는 경우 다시 곤지름이 커져서 처음 |
부터
다시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