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titled Document
Untitled Document
 
 
Untitled Document
 
  > 대장항문질환 > 항문질환 > 치루/항문농양
항문 안에는 6~8개정도의 항문샘이 있어 배변시 윤활액이 나와 배변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이 항문샘이 대변 안에 있는 세균에 의해 곪게 되면 항문주위 농양이 됩니다.
고름이 잡히는 위치에 따라 직장 주위 농양이라고 부를수도 있습니다.
 
치루는 항문주위농양이 항문주위 바깥쪽으로 터지거나 치료를 위해 짼 이후에 이 곳과 염증이 시작된 항문샘에 통로가
생겨 연결된 상태를 말합니다. 항문옆에 샛길이 뚫려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속의 항문샘에 있는 구멍을 내공, 바깥쪽 구멍를 외공이라고 부르며 연결하는 통로를 치루관이라고 부릅니다.
모든 치루는 항문주위농양에서 발전된 이후에 생기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항문주위농양이 모든 경우 치루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고 약 70%정도에서 치루로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설사후 과로로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면 항문샘에 세균이 들어가서 염증을 일으켜 항문주위농양과 여기서 진행된 치루가
생깁니다. 심한 항문주위농양의 원인은 치상선 상에 있는 항문샘의 감염입니다.
대개는 심한 설사이후나 과로로 인해 몸의 저항력이 떨어진 이후에 잘 생깁니다.
봄과 여름에 걸쳐 잘 생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원인균은 대개 일반 세균이지만 치루관 조직검사상 5%미만에서 결핵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드물게는 크론씨질환이나 궤양성 대장염등 염증성 장질환에 병발되어 치루가 생기기도 합니다.
그 외에는 항문이 제질환에 의해서도 치루가 생길 수 있는데 가장 흔한 경우는 치열에 의해 치루가 생기는 경우입니다.
치열이 생기는 위치인 후방과 전방에 흔하며 치열이 심하여 염증이 생기는 경우에 생길 수 있습니다.
 
수술이 간단한 단순치루와 복잡한 수술을 필요로 하는 복잡치루로 구분해야 됩니다.
단순치루와 복잡치루는 치루관이 주변 괄약근의 어느 위치를 뚫고 지나가느냐에 따라 구분합니다.
학술적으로는 치루관이 지나는 해부학적 course 에 따라 괄약근간치루, 괄약근경치루, 괄약근외치루라는 어려운 용어를
써서 분류를 하지만 이를 간단히 괄약근의 포함 정도에 따라 저위치루와 고위치루로 나누기도 하고, 항문주위를 빙 돌아
치루관이 생기는 마제형 치루를 따로 다루기도 합니다. 저위치루를 단순치루, 고위치루와 마제형 치루를 복잡치루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알기 쉬운 분류입니다.
 
20대나 30대에 많이 흔하며 남자에게서 3배정도 흔하게 이환됩니다.

항문주위농양의 증상은 항문이 벌겋게 부어오르고 통증이 심하며 몸에 열이 나기 때문에 쉽게 진단이 가능합니다.

종종 겉으로는 아무렇지도 않은데 항문통증이 있으면서 몸살기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는 항문주위농양의 일종인 직장주위농양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런 분들 중에 반복적으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데도
원인을 발견하지 못한 채 수년간 방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치루의 증상은 우선 항문주변에 불록 튀어나온 구멍을 확인
할 수 있으며 이곳에서 항문쪽으로 마치 심이 박힌 듯 딱딱한 치루관이 만져집니다.
대개는 손으로 진찰하는 수지 검사로 진단이 가능합니다만 애매한 경우 다른 질환과의 감별을 위해서 혹은 농양이나
치루의 정확한 위치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항문 초음파검사를 시행합니다.
수술전 항문 내압검사를 통해 술후 항문기능을 미리 예측함으로써 수술방식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항문주위농양의 치료는 응급으로 배농을 하는 것입니다. 시간을 지체하면 고름집의 크기가 점점 더 커지며 주위 조직을
손상시키기 때문입니다. 치루의 치료는 수술입니다. 치루는 일단 발생하면 저절로 치유되는 경향도 있으나 곪았다 터졌다를
반복하면서 복잡한 치루로 발전합니다. 치루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타입에 따라 적절한 술식을
적용하면 대부분 재발없이 완치됩니다.
수술은 단순치루나 복잡치루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단순치루의 경우 치루관을 절개하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이때 괄약근이 일부 잘리지만 손상범위가 크지 않기 때문에 기능에 큰 이상이 초래되지는 않습니다.
이렇게 괄약근을 자르는 치루관 절개수술을 하는 이유는 이것이 재발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복잡치루의 수술은 말 그대로 복잡합니다. 단순치루의 경우처럼 치루관을 절개하게 되면 괄약근이 심하게 손상을 입기
때문에 치루관을 절개하지 않고 안쪽의 구멍안을 막아주는 수술을 하거나 2단계의 수술을 하게 됩니다.
치루관 조직검사 상 일반염증으로 확인된 경우엔 수술만으로 충분하지만 결핵성치루로 확인된 경우에 결핵약을 반드시
6개월이상 복용해야 합니다. 크론씨질환에 병발된 경우에도 그에 맞는 적절한 약물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소아치루는 어른 치루와는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1세미만에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95%이상에서 남아에게 생기며 다발성으로 생기며 저위치루인 경우가 많습니다.
과거에는 자연치유가 된다고 하여 기다리는 경우가 많았으나 자연치유율이 아주 적으며 염증이 자주 발생하여 발열이
생겨서 성장발육을 저해하는 경우가 많아서 발견되면 바로 수술을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유를 먹는 유아에게서 모유를 먹은 유아보다 발생률이 많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원래 어른의 치루의 경우도
남자가 여자보다 흔히 발생하는데 약 3배정도 흔하게 관찰됩니다.
남자에게 흔히 발생되는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남성 호르몬이 치루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주장되고
있습니다.
 
치루는 별다른 통증이 없어 방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 복잡한 치루가 되며 10년 이상 방치된 치루에서 드물게 암이
발생하므로 반드시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Untitled Document
 
       
Untitled Document